분류 전체보기 (66) 썸네일형 리스트형 교사의 권력적 폭력 오늘 초등학생을 폭행한 교사에게 실형이 선고된 아래의 기사를 보았다. 놀라웠다. 저 교사의 행위가 놀라운 것보단 이제 저런 문제들이 다루어지고 기사화되고 있다는 긍정적인 방향이 놀라웠다. 기사에서처럼 초등학생에게 저 정도의 폭력을 가하는 것을 보지는 못했지만, 적어도 중학생 때는 나무 막대기에 절연테이프나 청테이프를 칭칭 감은 몽둥이를 들고 다니는 교사는 흔히 보였다. 그것으로 허벅지나 발바닥을 때리는 것 역시 마찬가지다. 심지어 내가 중학교 2~3학년 때만 해도 "학생들에 대한 체벌 금지" 같은 법안인가를 도입하는 것이 고려되었을 때인데, "정말 체벌이 없어도 될까?"는 학생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리는, 열띈 토론의 주제였다. 나는 중학생 때 강원도내 아동들의 권리 증진을 위한 콘퍼런스 등에 일종의 의.. 오랜만에 칠판 앞 디스커션 오늘 오랜만에 칠판에 그림을 그려가며 연구 디스커션을 했다. 작년 봄 코로나가 시작되면서 대부분의 미팅은 zoom으로 진행되었다. 점차 대면 미팅이 늘어나기는 했지만 예전만큼은 아니었고, 더욱이 미국 위스콘신 대학 교수님과도 함께 진행하는 프로젝트가 있었기에 zoom으로 미팅을 하는 것은 꽤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요즘도 미국에 계신 교수님과 KAIST에서 지도해주시던 교수님과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어서 대부분의 미팅은 zoom으로 진행하고 있었다. 그런데 최근에는 칠판에 복잡한 그림을 그리고 함께 보면서 생각해보면 좋을 것 같은 것이 있어, KAIST에 계신 교수님과 오랜만에 대면 미팅을 가졌다. 물론 아직 마스크도 다 쓰고 해야 하지만, 그래도 함께 칠판 앞에서 생각을 꾸준히 나누고 교류하니 너.. 나는 어쩌다 위상수학을 공부하게 되었을까 학부도 마치고, 이제 곧 떠날 때가 되니 연락을 주고받는 사람들의 범주가 넓어졌다. 최근에는 수학을 전공하는 학부 20학번 후배님이 이야기를 나누고 싶다 하여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나는 학부 15학번인데, 나도 1~2학년 때 수학박사 유학을 앞둔 11학번 형에게 이것저것 물어보고 이야기를 나누고 그랬어서, 여러모로 옛날 생각도 나고 좋았다. 저맘때쯤의 내가 가졌던 고민이나 생각, 계획도 접했기에 나를 돌아보게 되기도 했고, 또 내가 저때 가졌다면 좋았을 텐데 싶은 모습들도 접하니 응원하고픈 마음도 들었다. 아무튼 그렇게 나를 돌아보다 보니, 새삼 나는 어쩌다 위상수학을 (앞으로도) 공부하게 되었을까 생각해보게 되었다. 학부 2학년이 되면서, 학부 2~4학년 과목들을 두루두루 듣게 되었다. 그렇다보니 .. KAIST 수리과학과 소식지 출판 지난 포스팅 (https://dongryul.tistory.com/26) 에서 이야기했던 원고가 KAIST 수리과학과 소식지로 출판되었다. 수기 1면 (소식지 4면) 수기 2면 (소식지 2면) 첫 논문이 게재 승인되었다. 학부시절 썼던 첫 논문이 https://arxiv.org/pdf/2006.10420.pdf 드디어 저널로부터 게재 승인을 받았다. International Mathematics Research Notices, IMRN이라고 불리는 저널이다. 학부 3학년 여름쯤 시작해서 학부 4학년 여름에 논문을 완성한 연구인데, 곡면의 mapping class group 위에서의 random walk가 나타내는 동역학적 성질에 대한 연구이다. 간단히 말해서, 곡면이 가질 수 있는 어떤 변형을 무작위적으로 계속해서 뽑아서, 뽑힌 변형들을 계속 합성해나갈 때 곡면은 어떤 방식으로 뒤틀리겠는가 같은 질문에 대한 결과이다. 연구는 우선 곡면의 변형들 중 어떤 곡선들을 따라서 뒤트는 변형들로 얻어지는 것들을 다루었는데, 우선 메.. 프로젝트 관리 툴 - Notion 생산성 앱 중에 Notion이라는 앱이 아주 유명하다. 여러 프로젝트나 일정 등을 기록, 관리하는 용도이다. Web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Desktop App도 있다. 전부터 써야지~ 써야지~ 하다가, 어제 교수님과 친구와 함께 작업한 논문을 어디에 투고할지 이야기하던 중, 또 다른 논문을 어디에 투고했는지 정확하게 기억나질 않았어서 바로 Notion을 사용하기로 결정하였다. 처음엔 어려워 보였는데, 이것저것 건드려보니 아주 편하고 좋았다. 우선 진행한/진행중인/계획중인 연구주제들을 좀 정리해 보았다. Keywords나 Status, Journal과 같이 특정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는 것들은 분류해둘 수 있어서 편리한 것 같다. 나는 Significance와 Feasibility, 주요 질문, 키워드.. 편도 비행기 뉴욕으로 가는 편도 비행기를 예매했다. 박사과정 유학을 떠나는 첫 발걸음이 될 예정이다. 국제선 편도는 처음으로 예매해본다. 기분이 묘하다. 이제 진짜 떠나는 건가... Minsky's talks on Curve complex and Teichmüller geometry 연구하는 영역에서 기본적인 부분들을 좀 되뇌어보자는 생각으로 유튜브에서 몇몇 세미나 영상들을 찾아보았다. 그러던 중 Curve complex와 Teichmüller geometry에 대한 Minsky 교수님의 톡 영상들이 있어서 며칠에 걸쳐 주욱 보았다. 핵심적인 내용들을 흥미로운 스토리 라인으로 잘 말씀하시는 것 같아 여기에 남겨본다. 아래는 Curve complex에 대한 영상들이다. Minsky 교수님은 Masur-Minsky라고 불리는, Curve complex의 기하구조를 규명하는 두 편의 논문으로 아주 유명하다. Part 1: youtu.be/aAxWC7g3XC4 Part 2: youtu.be/WpaRzSsF6QI 아래는 Teichmüller geometry에 대한 4개의 영상들이다. Teic..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